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부가가치세 예정 신고: 변경 사항 및 신고 방법 총정리

by 궁금했sunny 2025. 4. 3.

1. 부가가치세 예정 신고란?

부가가치세 예정 신고는 사업자가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과세 기간을 기준으로 반기(6개월) 또는 분기(3개월) 단위로 신고 및 납부하는 제도입니다.

  • 일반과세자: 1년에 4번 신고(1월, 4월, 7월, 10월)
  • 간이과세자: 1년에 1번 신고(1월)

2025년에는 기존 신고 방식과 일부 변경 사항이 반영되므로, 사업자는 이를 숙지하고 정확한 신고를 진행해야 합니다.

2. 2025년 부가가치세 예정 신고, 무엇이 달라졌나?

2024년 대비 2025년에는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습니다.

1)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의무 확대

2024년까지 연 매출 2억 원 이상 사업자에게만 적용되었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의무가 2025년부터는 연 매출 1억 원 이상 사업자로 확대됩니다. 이에 따라 더 많은 사업자가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합니다.

2) 간이과세자 세금 부담 완화

  • 2024년 기준 간이과세자 기준(연 매출 8,000만 원 이하)이 유지되지만, 2025년부터 부가세 납부 의무 면제 기준이 4,800만 원 → 5,000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.
  • 이에 따라 연 매출 5,000만 원 이하의 간이과세자는 부가세 납부 의무가 면제됩니다.

3) 예정 신고 면제 기준 확대

기존에는 직전 과세 기간(6개월) 공급가액 1억 5천만 원 미만 사업자가 예정 신고를 면제받았으나, 2025년부터는 공급가액 2억 원 미만 사업자까지 면제됩니다.

3. 2025년 부가가치세 예정 신고 대상

1) 일반과세자 신고 대상

  • 법인사업자: 예정 신고 의무 (반기별 신고)
  • 개인 일반과세자: 직전 과세기간 공급가액 2억 원 이상인 경우 신고 필수

2) 간이과세자 신고 대상

  • 간이과세자는 예정 신고 의무 없음 (1월 정기 신고만 진행)

4. 신고 및 납부 일정

1) 일반과세자 신고 및 납부 일정

  • 1기 예정 신고: 2025년 4월 1일 ~ 4월 25일 (1~3월 거래)
  • 1기 확정 신고: 2025년 7월 1일 ~ 7월 25일 (1~6월 거래)
  • 2기 예정 신고: 2025년 10월 1일 ~ 10월 25일 (7~9월 거래)
  • 2기 확정 신고: 2026년 1월 1일 ~ 1월 25일 (7~12월 거래)

2) 간이과세자 신고 일정

  • 2025년 1월 1일 ~ 1월 25일 (연간 신고)

5. 신고 방법

1) 전자 신고

  • **국세청 홈택스 (www.hometax.go.kr)**를 통해 온라인 신고 가능
  • 전자세금계산서 및 전자신고 활용 시 세액 공제 혜택 제공

2) 방문 신고

  • 세무서 방문 후 신고 가능
  • 세무 대리인을 통한 신고도 가능

6. 신고 시 유의사항

  • 전자세금계산서 의무 발행 여부 확인 (연 매출 1억 원 이상 사업자)
  • 공급가액 2억 원 미만 사업자는 예정 신고 면제
  • 매출·매입 내역 누락 여부 확인 후 정확한 신고 필요
  • 기한 내 미신고 시 가산세 부과 (미납 시 이자 부담 발생)

7. 결론

2025년 부가가치세 예정 신고는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의무 확대, 간이과세자 세금 부담 완화, 예정 신고 면제 기준 확대 등의 변화로 일부 사업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개편되었습니다. 본인의 신고 의무를 확인하고, 기한 내 신고하여 불이익을 방지하세요.